22일 국내 원숭이두창 첫 확진자가 격리돼 치료를 받고 있는 인천 동구 인천의료원 응급진료센터로 한 간호사가 들어가고 있다. 뉴스1
해외에서 입국한 원숭이두창 의사환자(감염 의심자) 중 내국인 한 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 국내 최초 원숭이두창 확진이자, 동북아시아 전체에서도 첫 감염이다.
백경란 질병관리청장은 22일 “원숭이두창 의사환자 2명의 진단검사 결과 내국인 1명이 최종 양성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날 원숭이두창 관련 특별 브리핑에 나선 백 청장은 “국내에서 확진된 환자는 독일에서 지난 21일 오후 4시경 귀국한 내국인으로, 현재 인천의료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지난 20일 항공편으로 입국해 전날 부산의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상을 내원한 외국인 의사환자 B씨는 음성이 나왔다. B씨는 원숭이두창이 아닌 수두로 최종 판명돼 격리 없이 수두 치료 뒤 퇴원 예정이다.
A씨는 21일 오후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귀국한 뒤 질병관리청에 스스로 의심 신고를 했고, 공항 검역소와 중앙역학조사관에 의해 의사환자로 분류됐다. 공항 격리시설에서 대기하다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상인 인천의료원으로 이송돼 격리·치료 중이다.
PCR검사 결과가 나오는 데는 통상 6시간이 걸리지만 질병관리청은 추가로 유전자염기서열분석까지 실시해 첫 원숭이두창 확진 판정을 내렸다. 유전자염기서열분석은 코로나19 첫 확진 때도 적용한 바 있다.
보건복지부장관과 질병관리청장은 국내 원숭이두창 확진자 발생에 따라 위기경보단계를 '관심'에서 '주의'로 격상했다. 현재의 대책반도 중앙방역대책본부로 격상해 대응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방역당국은 WHO 국제보건규칙에 따라 원숭이두창 확진 환자 발생 사실 및 조치사항 등에 대한 정보를 WHO 서태평양지역사무처와 해당 확진자의 출국 국가인 독일에 통보했다.
또한 그동안 원숭이두창을 풍토병 지역과 유럽·중동 등 비풍토병 지역으로 나눠 집계하였으나, 그 구분도 아예 없애기로 했다.
올해들어 원숭이 두창 감염이 확인된 나라는 모두 52개이며 가나를 제외하면 모두 비풍토병 국가이다.
동남아시아에서는 처음으로 싱가포르에서 확진자가 보고된 가운데 영국은 원숭이두창 위험 집단에 백신 접종을 권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