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후원하기
뉴스등록
포토뉴스
RSS
네이버톡톡
맨위로

시드니 '물폭탄' "라니냐가 이상기후 초래"

등록일 2022년07월06일 15시36분 트위터로 보내기 네이버 밴드 공유


범람한 강물에 잠긴 다리 호주 뉴사우스웨일스주에 지난 2일부터 폭우가 내려 이재민 5만여명이 발생한 가운데 5일 시드니 북서부 윈저에서 시민들이 범람한 강물에 침수된 다리를 바라보고 있다. 윈저=AP연합뉴스

 

호주 최대 도시 시드니가 기후변화 속에서 홍수의 도시가 되고 있다. 시드니가 속한 뉴사우스웨일스(NSW)주엔 지난 2일부터 폭우가 내려 이재민 5만여명이 발생하는 등 피해가 커지고 있다. 5일 AP통신에 따르면 도미닉 페로테이 NWS주 주지사는 “현재 주 전역에 대피령 102건이 내려졌고, 이 중 24건은 하룻밤 사이 새로 발령된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24시간 동안 구조작업 152건이 진행됐고, 대피권고를 받은 주민은 5만여명에 달한다. 현재까지 사망자는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시드니 남쪽 일라와라 지역에서 3일간 내린 강수량은 700㎜를 웃돈다. 호주 멜버른, 캔버라의 연평균 강수량이 650㎜인 것과 비교하면 다른 지역에 1년 동안 내릴 비가 사흘간 쏟아진 셈이다.그렇지만 아직 홍수는 끝난게 아니다.

기후변화 탓에 시드니에서 홍수는 이젠 뉴노멀(New Normal: 새로운 정상)로 자리 잡는 모습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과거 이례적이었던 겨울철 폭우는 이제 빈도가 늘고 있다. CNN은 “한 세대에 한 번꼴로 있던 홍수가 이제는 보편화한 현상이 됐다”고 했다. 시드니에서는 지난 18개월간 이번을 포함해 4번의 홍수가 발생했다. 직전인 지난 3월 홍수 때는 사망자도 20명에 달했다.

전문가들은 라니냐 현상이 기상이변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분석한다. 라니냐는 엘니뇨와 반대 현상으로 호주가 속한 서태평양 해수 온도가 상승하고, 동태평양의 수온이 낮아지는 현상을 말한다.

환경운동가들은 호주 정부가 재난 대응과 복구에만 힘쓸 게 아니라 기후위기에 예산을 투입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호주보존재단(ACF)에 따르면 직전 보수성향의 자유당 집권(2013 9월∼2022년 5월) 8년간 환경·기후에 대한 정부예산 규모는 3분의 1 가까이 줄었다.

한국SNS뉴스 기자 이기자의 다른뉴스
올려 0 내려0
유료기사 결제하기 무통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가장 많이 본 뉴스

종합 연예 스포츠 플러스 핫이슈

UCC 뉴스

포토뉴스

연예가화제

기부뉴스

여러분들의 후원금으로
행복한 세상을 만듭니다.

현재접속자 (명)